VM 을 이용해서 Kubernetes Cluster를 구성해보자.
일단 AWS나 Azure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에서 인스턴스를 2개 이상 만들어서 시도해하거나, 로컬의 사양이 충분하다면 로컬에 VM 을 올려서 클러스터를 구성해도 된다. 나같은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는 개인 서버가 있어서 그 서버에 VirtManager 를 통해 VM 을 만들고 그 VM 을 통해 Cluster를 구성하려고 한다.
1. VM 만들기
일단 로컬에 Virt-Manager 를 설치하자.
Virtual Machine Manager Home
About virt-manager’s supporting tools virt-install is a command line tool which provides an easy way to provision operating systems into virtual machines. virt-viewer is a lightweight UI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the graphical display of virtualized
virt-manager.org
Virt-manager 를 설치하고 실행한다.
나같은 경우는 ssh로 연결해서 remote server 에 VM 을 설치하기 때문에 Connection을 이용해 연결한다. Connect to remote host over SSH 를 클릭해서 username 과 remote 서버 주소를 입력해서 연결되면 연결된 QEMU/KVM 을 우클릭해서 새 VM 을 만들수 있다.
일단 나는 다운로드 받은 ubuntu server 이미지로 VM 을 만들 생각이기 때문에 Local install media 를 선택한다.
여기서 헤맨게 있는데, 다운로드 받은 ubuntu server 이미지는 로컬에서 하는게 아닌 ssh 로 연결된 remoter 서버에 올려두고 진행해야 된다. 생각해보면 당연한 건데, 계속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를 로컬에서 찾으려고 해서 좀 해맸었다.
이미지를 remoter server에 올려두고 올려둔 곳을 volume으로 잡는다.
그리고 원하는 cpu 와 메모리 그리고 storage를 잡고 network 를 bridge로 잡으면 네트워크 세팅이 안되서 NAT로 네트워크 세팅을 해주었다. 이제 별다른 문제가 없으면 VM이 만들어지고 원하는 이미지로 OS가 세팅된다.
'Kubernetes > Kubernetes 연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M 이용해서 Kubernetes 설치하기 - 3 (0) | 2021.06.20 |
---|---|
VM 이용해서 Kubernetes 설치하기 - 2 (0) | 2021.06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