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번 글까지 일단 VM 만들기가 끝났다. 똑같은 방법으로 VM 을 2개 만들고 이 2개의 VM 에 kubernetes 를 설치해서 Master/Worker 로 Cluster로 묶어보자.
일단 작업은 virtmanager를 통해 vm안으로 진입해서 shell을 사용하는 것도 괜찮지만 그러면 복사 붙여넣기가 안되기 때문에 로컬 terminal을 이용해서 vm에 진입하자. vm안에서 ifconfig 을 통해 ip 주소를 알아내서 termianl로 vm안으로 진입하자. 물론 이 과정은 vm을 설치한 remote server에서 해야한다.
ssh 로 remote server 접속 후, ssh vm 접속 순서다.
이제 진행 과정은 kubernetes 공식 문서를 그대로 따라가면 된다.
https://kubernetes.io/ko/docs/setup/production-environment/tools/kubeadm/install-kubeadm/
kubeadm 설치하기
이 페이지에서는 kubeadm 툴박스를 설치하는 방법을 보여준다. 이 설치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 kubeadm으로 클러스터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kubeadm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생성하기 페이
kubernetes.io
위의 공식 문서의 순서대로 일단 컨테이너 runtime을 설치하자. containerd, cri-o,docekr 중 docker를 선택해서 설치했다.
OS는 ubuntu이기 때문에 우분투 docker 설치 공식 문서를 따라가보자
https://docs.docker.com/engine/install/ubuntu/
Install Docker Engine on Ubuntu
docs.docker.com
1.sudo apt-get remove docker docker-engine docker.io containerd runc
2. sudo apt-get update
3. sudo apt-get install \ apt-transport-https \ ca-certificates \ curl \ gnupg \ lsb-release
4.curl -fsSL https://download.docker.com/linux/ubuntu/gpg | sudo gpg --dearmor -o /usr/share/keyrings/docker-archive-keyring.gpg
5.echo \ "deb [arch=amd64 signed-by=/usr/share/keyrings/docker-archive-keyring.gpg] https://download.docker.com/linux/ubuntu \ $(lsb_release -cs) stable" | sudo tee /etc/apt/sources.list.d/docker.list > /dev/null
6. sudo apt-get update
|
sudo apt-get install docker-ce docker-ce-cli containerd.io
정말 공식 DOC 순서대로 진행해주자. 그리고 docker 의 cgroupdriver 를 systemd 로 설정해주자.
sudo mkdir /etc/docker cat <<EOF | sudo tee /etc/docker/daemon.json { "exec-opts": ["native.cgroupdriver=systemd"], "log-driver": "json-file", "log-opts": { "max-size": "100m" }, "storage-driver": "overlay2" } EOF
sudo systemctl enable docker
sudo systemctl daemon-reload
sudo systemctl restart docker
도커 서비스를 재시작해주면 이제 container runtime 설치는 끝났다.
'Kubernetes > Kubernetes 연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M 이용해서 Kubernetes 설치하기 - 3 (0) | 2021.06.20 |
---|---|
VM 이용해서 Kubernetes 설치하기 - 1 (0) | 2021.06.20 |